역대급 대참사 골골골골골골
무려 3골이나 먹힌 한국이 졸전끝 3대3 무승부를 거뒀습니다.
경기전 조1위로 일본을 만나고 싶다고까지 했던 클린스만 감독의 근자감이 어디에서 나온것인지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130위 말레이시아와 무승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은 25일 오후 8시 30분(한국시간) 카타르 알와크라에 위치한 알 자누브 스타디움에서 김판곤 감독이 이끄는 말레이시아와의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 E조 3차전에서 3-3으로 비겼습니다.
이로써 한국은 조 2위라는 충격적인 결과로 16강에 올랐습니다.
경기 종료 2분 전까지는 한일전이 16강에서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운명의 뒤틀림으로 한국은 E조 2위, 일본은 D조 2위로 각각 16강에 진출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F조 1위와 16강에서 대결하게 되었으며, 상대 팀은 사우디아라비아 혹은 태국이 될 것입니다.
일본 만나고 싶다 클린스만의 자만심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자신감은 그의 축구 경력과 지도자로서의 업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선수 시절 뛰어난 기록을 세웠으며, 감독으로서도 여러 팀을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습니다. 그러한 경험과 성공이 그의 자신감의 근원일 것입니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은 이번 아시안컵 최종 명단 발표 기자회견에서 일본과의 맞대결에 대한 강한 희망을 표현했습니다. 그는 “이번 아시안컵은 호주, 우즈베키스탄, 이란, 카타르 등 좋은 팀이 많다. 이 팀들 역시 우리에게 있어 결코 쉬운 상대가 아니다.
일본은 우리 라이벌이다. 아주 특별한 경기가 될 것 같다. 특별하고 기다려진다. 결승에서 일본과 만나길 희망하고 꼭 이루어지길 바란다. 일본 경기는 지속적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최근 몇 년 동안 성장세가 뚜렷한 라이벌이기에 기대된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 대표팀의 경기력을 볼 때, 클린스만 감독의 자신감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의문입니다.
특히, 한국의 조직력은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30위인 말레이시아보다도 떨어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64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을 목표로 하는 한국 대표팀이 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팀 조직력은 감독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린스만 감독이 어떻게 팀을 이끌어 나갈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이대로라면 16강 탈락도 가능하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은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의 장점을 살리는 방법에 더욱 집중해야 할 상황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경기력을 볼 때, 아무 팀도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아시안컵 역사상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했을 때 16강에서 탈락한 적이 없는데, 이번 대회에서 사우디나 태국과의 대결에서 치욕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경기력의 극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클린스만 감독에게는 선수들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팀의 전체적인 조직력과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각 선수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의 잠재력을 경기장에서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한국 대표팀이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거두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