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도 안보고?!” 옐로카드 남발 ‘마닝심판’ 이번에는 대놓고 00했다

또 너냐?!

우리나라에게 옐로카드 5장을 준 중국심판이 다시한번 승부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또 너야?

중국 심판이 팔레스타인 돌풍을 잠재웠습니다.

팔레스타인은 29일(현지시간) 카타르 알코르의 알바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에서 디펜딩 챔피언이자 개최국 카타르에 1대2로 패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은 가자지구 전쟁으로 고통받는 가운데 1승 1무 1패, C조 2위로 아시안컵 16강에 진출했습니다. 홍콩전 승리는 팔레스타인의 아시안컵 최초의 승리이기도 했습니다. 모하메드 살레는 16강 진출 후 “가자지구 주민들이 우리 경기를 행복해한다”고 눈물을 흘렸습니다.

분명 카타르의 전력이 한 수 위였습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은 단단했습니다. 볼 점유율은 41%로 크게 밀리지 않았고, 슈팅은 11개(유효 5개)로 오히려 카타르의 9개(유효 3개)보다 많았습니다. 전반 37분 오다이 다바그의 선제골까지 터졌습니다. 전반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내주었지만, 팽팽한 승부였습니다.

결과 바꾼 판정

결과를 바꾼 것은 페널티킥이었습니다. 후반 4분, 살레가 페널티 박스 안에서 알무잇즈 알리에게 파울을 범하자, 마닝 주심은 경고와 함께 페널티킥을 선언했습니다. 애매한 장면이었지만 VAR은 없었습니다.

마닝 주심은 이전에 한국-바레인전 주심이었습니다. 그 경기에서 한국에 5장의 옐로 카드를 내주며 클린스만호의 계획을 꼬였습니다.

이번 팔레스타인 경기에서도 마닝 주심은 팔레스타인에 경고 3장을 주며 카타르의 8강 진출을 도왔습니다.

후반 페널티킥 골 이후 카타르는 방어적으로 전환했으며, 추가시간은 8분으로 끊었습니다. 경기 후 팔레스타인은 강하게 항의했지만, 이미 종료 휘슬이 울린 상태였습니다.

경기후 말말말

팔레스타인의 마크람 다부브 감독은 “선수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모든 것을 바쳤다. 더 할 말이 없었다. 선수들은 팔레스타인 축구에 영광의 순간을 선물했다”면서

“우리의 메시지는 스포츠는 물론 국민들에게 보내는 것이다. 팔레스타인 국민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카타르는 2019년 아랍에미리트(UAE) 대회 조별리그 1차전부터 아시안컵에서 11연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