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나가라” 예고된 참사 10회연속 올림픽 진출 무산, 정몽규 협회장은 어떻게 책임을 질것인가?

결과에 책임을 지겠다

실제 정해성 위원장이 한 말입니다. 정몽규 회장의 의견일텐데, 이제 정말 책임을 져야합니다.

사퇴로 책임을 질까요?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23세 이하(U-23) 대표팀은 26일 카타르 도하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아시안컵 8강전에서 인도네시아와 2-2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패배하며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예고된 참사

이 패배로 인해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지속되어 오던 올림픽 본선 진출 연속 기록이 중단되었고, 1984년 LA 올림픽 이후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대회 전 황선홍 감독은 해외파 선수 5명을 최종 명단에 포함시켰지만, 국제축구연맹(FIFA) 주관 대회가 아닌 관계로 차출 의무가 없어 배준호, 김지수, 양현준 등 일부 선수들이 소속팀의 반대로 합류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급하게 K리그 선수들로 대체하였으나 포지션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였고, 조별리그에서는 3승을 거두었으나 한국 축구에 정통한 신태용 감독의 팀을 상대로 결국 약점이 드러나며 탈락하게 되었습니다.

최악의 2024년

2024년은 한국 축구에 어두운 한 해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전 감독 위르겐 클린스만의 임기 동안 발생한 여러 논란이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은 지난해 클린스만 전 감독을 선임했으나, 그의 부임 이후로 계속된 논란은 한국 축구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특히, 올해 초 AFC 아시안컵에서의 성적 부진과 선수단 관리 실패는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클린스만 전 감독은 최근 오스트리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도 무책임한 태도를 보였다고 합니다.

어떻게 책임질까?

이러한 사태는 올림픽 대표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해성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은 혼란을 수습할 수 있는 적임자로 황선홍 감독을 판단하여 3월 A매치 임시 감독을 맡겼습니다.

하지만, 황 감독 또한 중요한 해외파 차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WAFF U-23 챔피언십 우승 이후에도 해외파 선수들의 이탈이 계속되었습니다.

현재 대한축구협회는 새로운 A대표팀 감독 선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국 축구가 바닥까지 떨어진 만큼, 이제는 근본적인 변화와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것이 전반적인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