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성 전북현대모터스 어드바이저가 대한축구협회(KFA)의 행정 문제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박지성 인터뷰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박지성과 함께하는 미래세대 토크-주니어 풋살’ 행사에 참석한 박지성은 이후 JTBC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KFA의 홍명보 국가대표팀 감독 인선 과정에 대한 논란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박지성은 “첫 번째 드는 감정은 슬픔입니다. 한국에서 축구를 시작했고, 여전히 축구 분야에 있지만, 우리가 이것밖에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뭐 하나 답이 없다는 게 가장 슬프고 참담합니다. 저 역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일을 맞이하는 많은 축구인도 가슴이 아플 것이고, 과연 언제까지 이래야 하는 걸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절차대로 밟아서 감독을 선임하겠다는 약속 자체가 무너졌습니다. 받아들일 사람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비판했습니다.
중대한 사안

그는 또한 “이번 사안이 너무 커서 상황을 바꿀 수 있을지 저로서 가늠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감독 선임을 했지만 이것을 번복하는가 마는가는 KFA와 홍 감독님의 결정이 남아있습니다”며 “지금 분위기에서 앞으로 쉽사리 나아갈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라고 우려했습니다.
박지성은 정몽규 회장에 대한 퇴진 요구에 관해 입을 열었습니다. 그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인 건 사실입니다.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KFA 회장을 내려와야 한다, 내려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외부 압력으로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라며
“결국 회장님이 스스로 선택을 해야 한다는 건 분명합니다. 회장님이 그만둔다고 했을 때 다른 대안이 있는가 또한 고민을 해봐야 합니다. 뭔가를 해야 한다는 것보다 KFA를 바라보는 시선을 어떻게 재확립시키고, 신뢰를 심어줄지가 우선시돼야 합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박지성은 자신의 책임감에 대해 언급하며, “박지성이라는 전 축구선수로서 대한민국 축구의 책임은 어느 정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언론을 맞닥뜨려야 하는 상황임에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한국 축구를 배제한다는 것과 같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는 또한 “제가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뭔가 바뀔 거라는 기대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생각은 전달해야 하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라고 소신을 밝혔습니다.
박주호에 대해

또한, 박지성은 내부 폭로 후 KFA의 ‘법적 대응’ 압박에 몸살을 앓은 박주호 KFA 전력강화위원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습니다. “가장 많이 느끼는 점은 회의 기간 내내 박주호가 상당히 많은 무력감을 느꼈겠구나라는 것입니다.
절차대로 진행이 안 됐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자리에 누구든 있을 필요가 없다는 무력감을 느꼈겠구나 싶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 부분이 가장 아쉬웠습니다”라고 전했습니다. 박지성은 또한 KFA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시스템이 있지 않으면 결국 그 들어오는 좋은 인재들을 활용하지 못하고, 그 인재들을 제물로 써야 하는 일이 벌어지기 때문에 굉장히 안타까운 결과입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도중 마지막 질문을 받겠다고 말하는 관계자를 만류하는 장면도 있었습니다, 박지성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명확히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가장 위기인 점은

박지성은 ‘한국 축구의 위기’에 대한 세간의 우려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표명했습니다. 그는 “한국 축구 위기라고 하는데, 대표팀이 위기라서 위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근간이 흔들렸을 때가 진짜 위기입니다. 지금은 그 근간이 흔들릴 수 있어 가장 우려스럽습니다”라고 말하며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
더 나아가 박지성은 “체계 자체가 무너졌습니다. 체계를 바로 세울 거라는 기대는 5개월 전이 마지막이 아니었나, 체계 변화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모든 걸 새로 쌓아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한국 축구의 체계적인 재정비의 필요성을 피력했습니다.
그의 말에서는 한국 축구가 처한 상황에 대한 깊은 안타까움과 함께, 구조적인 변화를 강조하는 의지가 엿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