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들 하려고..” 마침내 안정환도 국대감독 사태 얘기했다

마침내 안정환에게도..

안정환의 국대감독 발언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암투폭로

안정환, 축구선수 출신 방송인으로서 과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사령탑 경쟁에서 벌어진 암투에 대해 폭로했습니다.

그는 지난 18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영광아 억울해하지 마, 진실은 언젠가 밝혀지고 다 알게 될 거야’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김영광, 김남일, 조원희 등 축구선수 출신들이 출연해 MC 안정환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특히 김영광은 영상에서 “과거 조 본프레레 감독이 한국 대표팀을 더 오래 이끌었다면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자신이 주전 골키퍼로 뛰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 본프레레 사태

조 본프레레 감독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2004년 6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대한민국 대표팀을 지휘했습니다. 그의 지휘 기간 동안 A매치에서 10승 8무 6패의 성적을 거두었지만, 승률은 41.67%에 불과했고, 많은 비판을 받은 끝에 자진 사퇴했습니다.

안정환은 과거를 회상하며 조 본프레레 감독에 대한 당시의 인식을 언급했습니다. “사람들이 본프레레 감독의 커리어가 다른 감독에 비해 떨어진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며,

그 시절의 내밀한 상황에 대해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는 “확실하진 않지만, 그때 본프레레를 어떻게든 자르고 대표팀 감독 자리에 앉으려는 사람이 많았다”고 폭로했습니다.

감독이 2명?

김남일 역시 당시 대표팀의 내부 상황을 설명하며 “감독이 두 명인 것 같았다”고 했는데, 이는 보이지 않는 외부 압력 때문에 선수단 분위기가 좋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이에 대한 안정환의 반응은 “감독이 두 명이었냐”고 되물으며 의아해했습니다.

김남일이 “그런 느낌이었다”고 답하자, 안정환은 “난 본프레레 감독님 한 명이었던 것 같은데…”라며 폭로 행보에서 조금 물러서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김남일은 안정환의 이런 태도에 웃음을 보이며 “잘 빠져나가네”라고 말했습니다. 농담을 마친 후 안정환은 다시 진지하게 돌아와 “근데 본프레레 감독이 약간 고집불통 느낌이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대화들은 당시 대표팀 내부의 복잡한 정서와 감독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드러내 줍니다.

대한축구협회(KFA)의 대표팀 감독 선임 방식에 대한 논란은 20년이 지난 현재도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대한축구협회

최근 KFA는 기존에 계획했던 외국인 감독 선임 방침을 버리고 절차를 무시한 채로 홍명보 감독에게 대표팀 지휘봉을 맡겼습니다. 이 결정은 축구 팬들과 은퇴한 축구선수들 사이에서도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박주호, 이영표, 이천수, 박지성, 이동국, 조원희, 김영광 등 많은 전직 국가대표 선수들이 차례로 KFA의 행정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들은 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에서의 투명성과 공정성 결여를 지적하며, 협회의 결정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표현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대한민국 축구계 내부의 지속적인 개선 필요성을 드러내며, 공정한 절차와 투명한 운영이 더욱 중요해짐을 보여줍니다.